[리뷰] 다인오디오 EVOKE(이보크) 시리즈

다인오디오의 미들 클래스로, 상위 모델의 기술들을 자랑하는 Evoke 시리즈

덴마크가 자랑하는 세계적인 스피커 브랜드 다인오디오. 그 라인업 중 합리적인 가격대의  중급형 제품군인 'Evoke' 시리즈는 엔트리급 'Emit' 시리즈의 상위 제품군이다. 'Exit' 시리즈의 후속작으로 2019년 출시 이후 꾸준한 롱셀러 제품으로 미들급 가격대에서 특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센터 스피커 'Evoke 25C'를 포함해, 총 5가지 제품으로 구성된 Evoke 시리즈 중 그 매력을 파악하기 위해 북쉘프 모델 'Evoke 10', 'Evoke 20', 플로어스탠딩형 'Evoke 30', 'Evoke 50' 등 4개 스피커에 대해 집중해보고자 한다.




Evoke 시리즈 개발은 2016년 다인오디오 연구소 내에 완공된 거대한 스피커 측정 시설 'Jupiter(주피터)'의 존재가 큰 역할을 했다. Jupiter는 한 변이 13m에 달하는 거대한 입방체로, 1개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파를 원호 형태로 마이크 어레이(6도 간격으로 31개의 마이크를 설치)로 한 번에 180도의 소리를 측정한다. 또한 이 마이크 어레이 자체를 회전시켜 360도 측정도 가능하다. 물론 이 마이크 어레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정이 가능하지만, 이 Jupiter가 완성된 덕분에 개발 속도도 비약적으로 빨라져 단기간에 완성도 높은 스피커 시스템을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런 배경에서 탄생한 Evoke 시리즈의 공통점을 살펴보자. 심장부라 할 수 있는 드라이버들은 컨피던스와 컨투어i 시리즈에서 유래한 기술을 도입했으며, 고역을 담당하는 트위터는 창립 40주년 기념 'Special Forty'와 'Confidence' 시리즈 개발에서 얻은 노하우를 살린 사양으로 되어 있다.

Evoke 시리즈에는 'Cerotar(세로타)'로 명명된 새로운 트위터를 전 모델에 탑재했다.  28mm의 비교적 큰 구경의 돔 진동판에는 특수 정밀 코팅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 뒷면에는 항공 우주에서 유래한 기류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한, Special Forty로부터 이어지는 Airflow 기술을 도입했다.

 또한 Confidence 시리즈 'Esotor 3' 트위터에 사용된 'Hexis' 기술을 도입했는데, 이 이너 돔은 공진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특수한 딤블 패턴을 가진 구조물로, 진동판 뒷면의 공간을 채우는 링형 펠트 대신에 후방 챔버로 이어지는 터널이 더해져  유닛 후면 공기의 흐름을 최적화하여 공진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특수한 공진 방지 기술을 자랑한다. 자기 회로는 탄산 스트론튬 페라이트+/세라믹 자석을 채택했다.

우퍼는 0.4mm로 얇고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뛰어난 독자적인 일체형 진동판 소재인 MSP(Magnesium Silicate Polymer,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폴리머)를 사용한 'Esotec+(에소텍 플러스)' 드라이버를 탑재했다. 자기 회로에는 트위터와 동일한 탄산 스트론튬 페라이트+/세라믹 자석을 채택했으며, Evoke 10과 Evoke 30은 14cm 구경, Evoke 20과 Evoke 50은 18cm 구경의 유닛이 탑재된다.

후면의 포트가 설계된 위상 반전형 캐비닛은 배플 면의 폭을 넓히는 한편, 후면부의 폭을 좁힌 사다리꼴 스타일로 강도 면뿐만 아니라 정재파 대책도 함께 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구경의 우퍼 탑재기인 Evoke 10과 Evoke 30, 그리고 Evoke 20과 Evoke 50의 폭과 깊이는 거의 같다. 마감은 화이트 글로스, 블랙 글로스, 나뭇결 시트 마감의 월넛 우드, 브론즈 우드 등 4가지 중 선택할 수 있다.


'Evoke 10', 풍부한 저역의 양감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사운드

먼저 소형 2웨이 기종인 'Evoke 10'부터 살펴보자. 앞서 언급했듯이 28mm Cerotar 트위터와 14cm MSP・Esotec+우퍼로 구성되어 있는데, 크로스오버는 1.4kHz로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필터 특성은 -12dB/oct.slope 이다. 또한 우퍼의 보이스 코일은 38mm 직경의 순수 알루미늄을 사용했다. 보빈은 유리섬유를, 스파이더 모양의 댐퍼에는 노멕스를 사용했다.

시청을 위해 프리앰프는 아큐페이즈 'C-3900', 파워앰프는 아큐페이즈 'A-75'를 준비했다. 플레이어는 아큐페이즈 'DP-570'을 사용했지만, DAC 부분만 사용했으며, USB 입력에 디지털 트랜스포트인 하이 레졸루션 DAP, Astell & Kern 'SP3000'을 연결하여 음원을 재생했다.

Evoke 10은 저렴하고 아담한 사이즈이지만, 그 크기에 걸맞지 않게 저역의 양감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고역은 윤기 있고 매끄럽고, 배음의 엣지가 적당히 살아있으며, 존재감이 있는 음색이다. 오케스트라는 관현악기의 선율을 윤기있고 매끄럽게 들려주며, 바디감이 밀도 높은 진한 하모니가 펼쳐진다. 그러나 여운의 울림은 깔끔하고 혼탁하지 않아 그 균형의 묘미에 감탄이 절로 나왔다.

재즈 음원의 혼 섹션도 선명하고 탄력 있게 그려내며, 바디도 두툼하다. 피아노와 심벌즈의 울림도 투명도가 높고, 저역의 울림의 두께도 느껴졌다. 우드베이스와 킥 드럼의 몸체는 두툼하고 밀어내는 힘도 강하다. 락 음악들의 리듬들도 두툼하고, 스네어 드럼의 어택도 단단함이 느껴진다. 일렉기타의 리프도 묵직하고 뻗어나가는 느낌이다. 보컬은 살이 많고 차분한 터치로 그려져 귀에 착착 감기는 따뜻한 표현이다. 입놀림은 부드럽고 촉촉한 광택이 있으며, 적당한 명료함을 가지고 있다.

11.2MHz 음원의 피아노는 풍성하고 풍부한 하모닉스를 들려준다. 보컬은 촉촉하고 윤기가 나며, 호흡의 뉘앙스도 차분하고 촉촉하게 그려낸다. 크리스토퍼 크로스의 'Nature Of The Game'은 피아노의 반짝반짝 빛나는 청량한 울림과 촉촉하고 따뜻한 보컬의 귀에 착 감기는 윤기가 균형 있게 어우러진다. 리듬 인에서 들려오는 저음의 힘찬 베이스와 좋은 대조를 이루며 평온함과 역동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Evoke 20', 보컬의 현실감이 높고, 보다 차분하고 안정감이 있다.

다음은 북쉘프 중 상위 모델인 Evoke 20이다. 이쪽은 우퍼가 다인오디오의 2웨이의 황금 비율이라 할 수 있는 18cm 구경이다. 트위터는 시리즈 공통이며, 우퍼의 기본 구조, 부재도 공통이지만, 보이스 코일 직경도 52mm로 대구경화했다. 필터도 2차 오더의 -12dB/oct로 Evoke 10과 동일하지만,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3.2kHz로 Evoke 10보다 상당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Evoke 10에 비해 더 차분하고 안정감 있는 사운드로 저음과 고음의 양감 밸런스가 잘 맞는다. 보컬의 리얼리티도 높고, 바디의 두께도 자연스럽고 윤기가 흐른다. 중음과 고음의 연결도 매끄러워 네트워크 설계의 장점을 느낄 수 있었다. 오케스트라의 선율은 악기의 광택을 돋보이게 하는 매끄러운 하모니로 정리되며, 저역은 깊고 뻗어나가는 듯한 여유로운 울림으로 밀어내는 힘이 좋다. 음장의 확장성도 좋아서 현장감 있는 공간감을 느낄 수 있었다.

재즈 혼 섹션은 하단의 단단함을 살리면서 여운을 깔끔하고 시원하게 그려내어 존재감 있는 묘사가 돋보인다. 피아노와 심벌즈의 울림도 경쾌하고, 어택감도 명료하다. 우드베이스와 킥 드럼의 울림도 밀도감 있게 풍부하게 밀어내지만, 어택의 탄력은 윤기가 있고, 적당한 날카로움을 가지고 있다.

락 음원의 디스토션 기타는 쫀득쫀득한 리프의 굵기, 디스토션 성분의 윤기와 엣지를 선명하게 묘사한다. 리듬대는 두께감이 있으면서도 날카롭게 공격을 조여주고, 심벌즈와 스네어드럼도 깔끔하게 잘 그려낸다. 보컬은 입술을 매끄럽게 정리하여 명료하게 표현한다. 경쾌하고 상쾌한 사운드다.

TOTO의 'I Will Remember'에서 두터운 드럼의 공기감도 살살 올라오고, 피아노의 잔잔한 울림과 세심한 보컬의 질감 묘사까지 더해져 음상의 생동감이 돋보인다. 리버브 처리의 치밀함, 피아노의 페달 소리도 잘 보여 음악에 더욱 몰입할 수 있는 인상이며, 11.2MHz 음원의 여성 보컬은 살이 꽉 차고 촉촉한 윤기와 윤기를 동반한 고급스러운 묘사가 돋보인다.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의 하모닉스도 계조가 세밀하고 저역의 굵기도 충분하며, 매우 쭉쭉 뻗어나가며 매끄럽게 표현한다.


'Evoke 30', 악기별 분리도가 좋고 밀도 높은 묘사를 보여준다.

그리고 세 번째 기종은 스마트한 플로어 스탠딩 타입의 Evoke 30이다. 우퍼는 Evoke 10과 동일한 14cm 구경이며, 유닛 자체의 사양도 동일하다. 이 14cm 우퍼를 2개 탑재하고 스태거 연결로 2.5웨이를 구성했다.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2.3kHz, 필터는 -12dB/옥타브 슬로프를 채택했으며, 2개의 우퍼 중 하나는 1.2kHz에서 감쇠시켜 저역의 힘감과 함께 빠른 속도와 날카로운 반응성을 갖췄다고 한다. 바닥면에는 X자형으로 돌출된 베이스 부분에 아웃리거 형태의 스파이크를 장착해 안정감 있는 설치를 제공한다. 

역시 큰 사이즈의 플로어스탠딩형답게 뻗어나가는 안정감이 느껴지는 사운드로 웅장함을 느낄 수 있다. 확산 표현을 중심으로 공간 표현력도 높아졌고, 저역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저역 방향의 계조도 더 잘 드러난다. 악기별 분리도도 좋고, 밀도 높은 묘사를 보여준다. 오케스트라의 관현악기는 탄력감있는 선명한 묘사를 그려내고, 저역의 뻗음도 잘 정리되어 음장감이 깊고 음장감 또한 깊다. 하모니는 촉촉하게 울려 퍼지면서도 윤곽이 흐려지지 않고, 각 파트마다 중심이 굵고 에너지가 넘치는 현장감 넘치는 표현이 돋보인다.

재즈 음원에서는 연주 전의 공기감부터 리얼하며, 혼 섹션의 경쾌하게 뻗어나가는 소리도 기분 좋게 들린다. 우드베이스와 킥드럼의 어택은 두께감을 가지면서도 적당히 조여주고 있다. 피아노와 심벌즈의 울림은 경쾌하게 일어나며, 엣지있는 배음감도 돋보인다. 보컬은 몸통의 살이 잘 붙어 있고, 입가의 시원한 포커싱이 돋보인다. 음상은 음의 이탈이 잘 정위되고, 윤곽은 촉촉한 윤기를 머금고 있다.

락 음원의 리듬 재생은 두터운 어택감을 보여주지만, 제동성이 높아서 탁한 저음의 잔향이 늘어지는 법이 없다. 일렉기타의 리프는 굵고 단단하며, 살짝 얹어진 리버브의 뉘앙스도 잘 잡아낸다. 남성 보컬의 하단은 굵고 안정적이며, 입의 움직임도 매끄럽게 표현한다. 심벌즈의 울림도 시원하다.

스트링을 배경으로 한 TRUE의 '여명'에서는 잘 분리되어 정위되는 보컬의 젊고 존재감 넘치는 묘사가 인상적이다. 저음의 느낌도 살리면서 목소리의 탄력이 좋고 부드러우며, 비브라토도 선명하게 잡아낸다. 생동감 넘치는 목소리의 뻗음도 유기적이며, 역동적으로 뻗어나가는 리듬대의 억양 좋은 끈기와 맞물려 역동적인 사운드가 전개된다. 스트링도 에너지가 넘치고, 맑게 울려 퍼지는 피아노의 저역대 현은 중후함까지 겸비하고 있다. 곡이 가진 웅장함과 벡터를 모두 갖추고 있다.


'Evoke 50', 세심하고 부드러운 묘사력을 동반한 고급스러운 톤 밸런스

마지막은 시리즈의 플래그십인 Evoke 50이다. 시리즈 중 유일하게 미드레인지를 갖춘 3웨이 구성으로, 2개의 18cm 우퍼는 Evoke 20과 달리 구리 보이스 코일로 진동계 질량을 높여 더 깊은 저역 재생을 실현했다고 한다.

15cm 미드레인지는 Contour 시리즈 직계 전용 설계 제품으로 0.4mm 두께의 MSP 콘과 순수 알루미늄 보이스 코일 & 유리섬유 보빈,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했다고 한다.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트위터/미드레인지 사이를 3.5kHz로 하고, 다른 모델보다 가파른 -18dB/oct 필터를 채택했다. 그리고 또 다른 미드레인지/우퍼 사이는 430Hz로, 필터는 -12dB/옥타브의 슬로프를 적용했다.

시리즈 중 가장 큰 모델답게 묵직하고 차분한 사운드를 가지고 있으며, 저역의 여유로운 울림과 함께 세심하고 차분한 묘사력과 함께 고급스러운 톤 밸런스를 겸비하고 있다. 관현악기나 여성 보컬의 질감은 윤기 있고 촉촉하다. 저역은 음의 뻗음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제동성을 높여 여운의 번짐과 부풀어오름을 억제하여 전망이 좋은 공간을 그려낸다.

오케스트라의 선율은 유연한 음색으로 촉촉하고 화려한 하모니가 펼쳐진다. 악기의 중심을 세심하게 잡아내면서 디테일을 유려하게 추적하고, 여운이 사라지는 순간까지 잘 표현한다. 재즈 음원은 카운트에서 입체적으로 정위하고, 혼 섹션은 선명하고 역동적으로 묘사한다. 피아노는 무게 중심이 낮고 안정감 있는 울림으로 하모닉스를 부드럽게 들려준다. 어택의 울림도 맑고, 잔향의 계조도 매우 섬세하여 거칠게 느껴지지 않는다. 킥 드럼과 우드베이스의 울림은 힘차게 밀어붙이면서도 심벌즈워크의 반짝임이 상쾌하게 울려 퍼져 대비를 잘 이루고 있다.

락 음원의 리듬들은 밀도있는 터치로 디스토션 기타도 두툼하게 재현해주는데 살짝 엣지있는 리프의 울림은 소름이 끼칠 정도다. 스네어드럼과 심벌즈의 어택은 탄력감이 있으면서도 매끄럽고, 딱딱하지 않고 여운이 시원하다. 보컬도 살이 꽉 차서 존재감 있게 자리 잡고 있다. 육성의 리얼함, 톡톡 튀는 음의 분리도도 돋보인다.

TOTO 'I Will Remember'에서도 보컬의 생생하고 집중력 있는 입매 묘사를 실감할 수 있었는데, 저역의 두께와 밀도감 또한 잘 어우러져 존재감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드럼의 두께와 코러스의 입체감도 인상적이며, 촉촉하고 차분한 발라드의 풍취를 충분히 즐길 수 있었다. 11.2MHz 음원에서도 악기의 리얼리티와 여운에서 명료한 계조성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지만, 저중심의 저역과 바디 밀도가 높은 보컬의 싱그러운 묘사력도 한층 더 깊어진 느낌이다. 있다. 호흡의 뉘앙스도 자연스러워 마치 실물 크기의 음상이 눈앞에 나타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정리

Evoke 시리즈는 트위터 등 각 모델마다 공통적인 요소를 갖고 있으면서도, 크기가 다른 캐비닛에 따라 크로스오버 주파수도 모델별로 세밀하게 설정하는 등, 미들 엔트리급임에도 불구하고 타협하지 않는 다인오디오만의 디자인 철학이 살아 숨 쉬고 있다. 모든 제품 모두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스트레스 없이 부드러운 음색으로 들려주는 경향이 있지만, 크기가 다른 모델마다 배치되는 환경을 고려한 사운드 튜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Evoke 10은 대중적인 음원에 대한 궁합이 좋고, 최근 트렌드인 저역의 풍부함을 최소한의 공간에서 구현하는 의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Evoke 20은 정통 북쉘프형 2웨이로 왕도적인 안정감 있는 밸런스 지향적인 사운드로 다양한 음악 장르와도 잘 어울려 조합하기 쉬운 스피커로 완성되었다.

Evoke 30은 스탠드가 필요 없는 플로어스탠딩 타입으로 일반 가정 환경에 가장 적합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Evoke 20의 연장선상에 있는 여유로움과 안정감, 그리고 듣기 편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겸비한 모델이다. 시리즈 최고봉인 Evoke 50은 가격, 설치 공간적 여유가 있다면 꼭 추천하고 싶은 하이엔드 입문자용 소지를 갖춘 제품이다. 전용 설계의 미드레인지를 통해 구현한 자연스럽고 밀도감 있는 중역 표현은 목소리와 악기의 본질을 정확하게 이끌어낸다.

Evoke 시리즈는 고급형 모델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해상도 위주의 사운드와는 달리 음악이 가진 에너지, 악기의 디테일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인상이다. 생활 환경에 잘 어울리면서도 음악 우선주의를 고수하는 유럽 특유의 컨셉이 살아 숨 쉬는 스피커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인오디오의 모든 것

사운드코어

02 549 0717


INFOMATION

사운드코어

사업자 등록번호 : 565-57-00160
대표자 : 지인규
개인정보관리자 : 지인규
통신판매업번호 : 2017-서울용산0145 

호스팅제공자 : (주)아임웹

CS center 

고객센터 :  02-549-0717

운영시간 : 월~금 오전 10시~오후 8시 


대표전화번호 : 02-549-0717

e-mail : soundcore5490717@gmail.com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735 (태양빌딩) 3층 (우 : 06041)

INFOMATION

사업자 등록번호 : 565-57-00160
대표자 : 지인규
개인정보관리자 : 지인규
통신판매업번호 : 2017-서울용산0145 

호스팅제공자 : (주)아임웹

CS center

고객센타 :  02-549-0717

운영시간 : 월~금 오전 10시~오후 8시 


대표전화번호 : 02-549-0717

e-mail : soundcore5490717@gmail.com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735 (태양빌딩) 3층